본문 바로가기
근로장려금

2025 자녀장려금 소득기준 바뀐 점 총정리

by Lizzy쌤 2025. 4. 20.

1. 2025 자녀장려금 개요

자녀장려금은 저소득 근로자 또는 사업자 중 부양 자녀가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근로·사업·종교인소득이 있다면 신청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

2025 자녀장려금 소득기준 바뀐 점 총정리

2. 소득기준 변경 사항

  • 2025년 소득요건 (자녀장려금 기준)
    부부합산 연간 총소득 7,000만 원 미만
  • 재산 요건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 전체 재산 합계액 2억 4천만 원 미만
  • 총소득 vs 총급여액 등
    총소득은 다양한 소득의 합계이며, 자격판단은 총소득 기준 장려금 지급 금액은 총급여액 등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3. 신청요건 및 제외 대상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

  • 근로·사업·종교인소득 중 1개 이상 소득이 있는 가구
  • 자녀는 18세 미만 + 연소득 100만 원 이하여야 함
  • 직계존속은 70세 이상 + 소득 100만 원 이하 + 동거 및 부양 조건 충족 필요

신청 불가 대상

  • 전년도 12월 31일 기준 대한민국 국적 미보유자
  • 타인의 부양자녀로 등록된 경우
  • 전문직 사업자 및 그 배우자

4. 지급 금액

  • 자녀장려금
    홑벌이·맞벌이 가구: 부양자녀 1명당 최대 100만 원 지급
  • 근로장려금(참고)
    ▶ 단독가구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최대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최대 330만 원

* 지급금액은 총급여액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정확한 산정은 홈택스에서 확인하세요.

5. 신청 기간 및 방법

  • 📅 정기신청: 5월 1일 ~ 5월 31일
  • 📅 반기신청:
    - 상반기분: 9월 1일 ~ 9월 15일
    - 하반기분: 3월 1일 ~ 3월 15일
  • 🧾 신청 방법:
    - 홈택스(PC, 모바일), ARS(1544-9944), 서면 신청 가능
  • 📄 구비서류:
    - 소득재산이 국세청 자료와 일치하면 별도 서류 불필요

6. 자주 묻는 질문 (FAQ)

  1. Q. 자녀장려금은 꼭 홈택스로 신청해야 하나요?
    A. 홈택스 외에도 ARS나 서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2. Q. 국적이 외국인인 배우자가 있어도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본인이 대한민국 국적이고 자녀가 있다면 가능합니다.
  3. Q. 소득기준은 세전인가요, 세후인가요?
    A. 세전 기준인 총소득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4. Q. 2자녀 이상이면 장려금은 2배인가요?
    A. 자녀 1명당 최대 100만 원씩 지급되므로 2명이면 최대 200만 원입니다.
  5. Q. 무직인 상태도 신청 가능한가요?
    A. 근로·사업·종교인소득이 있어야 하며, 무소득자는 제외됩니다.
  6. Q. 지급 시기는 언제인가요?
    A. 정기신청의 경우 9월 전후에 일괄 지급됩니다.
  7. Q. 주민등록상 동거하지 않아도 부양으로 인정되나요?
    A. 원칙적으로 동거해야 하지만, 일시적 퇴거 시 인정될 수 있습니다.
  8. Q. 반기신청과 정기신청 중 뭐가 유리한가요?
    A. 소득 변동이 크지 않다면 정기신청이 더 정확한 금액으로 지급됩니다.
  9. Q. 전문직이란 어떤 직업인가요?
    A. 세무사, 변호사, 의사, 한의사, 건축사 등 일정 자격을 필요로 하는 업종입니다.
  10. Q. 맞벌이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A. 본인과 배우자 모두 총급여가 300만 원 이상인 경우입니다.

'근로장려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자녀장려금 조건과 지급금액 총정리  (0) 2025.04.20